영성큐티

슬프다, 이 성이여!(애1:1-11)

James Cha 2024. 10. 17. 05:00

2024년 10월 17일(목) / 매일성경 / 예레미야애가 1장 1-11절

 

슬프다 이 성이여 전에는 사람들이 많더니 이제는 어찌 그리 적막하게 앉았는고 전에는 열국 중에 크던 자가 이제는 과부 같이 되었고 전에는 열방 중에 공주였던 자가 이제는 강제 노동을 하는 자가 되었도다(애1:1)

 
[하나님 - 본문속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성품] 

1. 더 이상 보호하지 않으시는 하나님(1-7)

유다는 바벨론에 의해 멸망하게 되고, 예루살렘에 남아 있던 비천한 이들은 고스란히 실패의 아픔을 견뎌내야 했습니다.

하나님의 심판에 의해 폐허가 된 예루살렘은 참담한 삶이 계속되었습니다.

남겨진 백성들은 뒤늦은 후회와 탄식으로 지금의 아픔을 토로합니다.

열국 중에 큰 자였던 예루살렘이 한 순간에 종의 신분으로 몰락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았던 것입니다.

다윗과 솔로몬시대에 누렸던 이스라엘의 영화와 영광이 다 사라져버리고 이제는 모두가 떠나버린 처량한 신세가 되었습니다.

절대 무너질 수 없었고 무너지지 않으리라 확신했던 예루살렘이 순식간에 폐허가 되어버리자 유대인들에게는 끝없이 밀려오는 허무함으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결정적으로 더이상 하나님이 자신들을 보호하지 않으시고 떠나신 것 같은 고독을 경험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버리신 건가?", "하나님이 우리를 떠나신 건가?"

 

사실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떠나시고 피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이스라엘의 죄악에 대한 징계로 하나님이 내버려 두시는 것일 뿐입니다.

 

[인 - 본문속에서 나타나는 인간]

1. 끌려간 백성들, 빈 예루살렘(1-7)

유다 백성들은 바벨론에 모든 것을 빼앗겨버리고 심지어 포로로 잡혀갔습니다.

북적이던 예루살렘은 이제 텅 빈 한산한 거리가 되었습니다.

남자들은 전쟁에서 희생되고 그나마 살아남은 자들은 바벨론으로 끌려갔으니 미래를 그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예루살렘이 처량해 진 만큼 상대적으로 더욱 번성해지는 것은 시온의 원수들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대적들은 시온의 몰락에 대해 기뻐합니다. 

유다의 지도자들은 꼴을 찾지 못한 사슴들처럼 자신들의 목숨 부지를 위해 달아나버렸습니다.

시온이 무너지고 모든 백성들이 적들에게 붙잡혀가도 이를 돕는 사람이 아무도 없습니다.

 

2. 죄의 고백과 구원의 호소(8-11)

수치와 멸시를 받은 이는 결코 고개를 들지 못했습니다.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그런 상황을 위로 해 줄 이가 아무도 없다는 것입니다.

모든 이들이 등을 돌리고 어느 누구도 돕지 않는 시온의 형편이 너무도 절박하다는 것을 호소합니다.

이 세상에 위로하는 자가 아무도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이는 자신을 징계한 하나님을 향해 절규하며 호소합니다.

"여호와여 원수가 스스로 큰 체 하오니 나의 환난을 감찰하소서"(9)
"나는 비천하오니 여호와여 나를 돌보시옵소서"(11)

 

[나 - 나의 삶의 적용]

하나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유다는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했습니다.

하나님은 선포하신 말씀을 반드시 성취하시는 분이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유다의 죄악으로 인해 더이상 피할 수 없는 심판의 고통이 남겨진 유다의 백성들에게 고스란히 남았습니다.

예례미야애가의 저자는 이 모든 고통과 아픔이 바로 유다의 죄악 때문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고백합니다.

그리고 오로지 바라볼 수 있는 것은 하나님 뿐입니다.

다른 이들은 모두 떠나가고 모두가 외면하지만 하나님은 눈물로 회개하며 돌이키는 자를 결코 외면하지 않으십니다.

세상의 어떤 것으로도 우리의 고통을 치유할 수 없고 그 의미도 설명할 수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을 의지하는 믿음으로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