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큐티

나를 즐겁게 하는 말에 현혹되지 말라(삼하3:17-26)

James Cha 2022. 9. 22. 07:00

2022년 9월 22일(목) / 매일성경 / 사무엘하 3장 17-26절

 

아브넬이 이스라엘 장로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너희가 여러 번 다윗을 너희의 임금으로 세우기를 구하였으니 이제 그대로 하라 여호와께서 이미 다윗에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내가 내 종 다윗의 손으로 내 백성 이스라엘을 구원하려 블레셋 사람의 손과 모든 대적의 손에서 벗어나게 하리라 하셨음이니라 하고(삼하3:17-18)

 

[하나님 - 본문속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성품]

1. 섭리하시는 하나님

하나님의 뜻, 하나님의 계획은 변함이 없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종 다윗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우셨고, 다윗은 이스라엘을 다스릴 왕이 되어가고 있는 과정속에 있습니다.

아브넬이라는 인물이 사울의 편에 속한 사람이었고, 그의 속내는 무너져가고 있는 사울의 집안과 이스라엘을 다윗에게 넘겨주고 이제 자신은 다윗을 등에 업고 유다의 통치자의 반열에 있겠다는 속내였지만 하나님은 아브넬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다윗의 왕권을 세워가시는 과정속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아브넬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다시 상기시켜줍니다.

18절의 말씀입니다.

"여호와께서 이미 다윗에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내가 내 종 다윗의 손으로 내 백성 이스라엘을 구원하여 블레셋 사람의 손과 모든 대적의 손에서 벗어나게 하리라" 

 

[인간 - 본문속에서 나타난 인간]

1. 아브넬의 정치적 계산, 찾아온 평화(17-19)

아브넬은 철저히 정치적인 계산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스보셋을 내세운 사울의 집안에서는 더이상 유지하기 힘들다고 판단했습니다.

다윗을 이용하는 것이 자신에게 더 큰 이득을 줄 수 있다고 판단했던 것입니다. 아브넬은 이 야욕을 채우기 위해 이스라엘의 장로들을 불러모아 설득하기 시작합니다.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약속하신 말씀을 근거로 다윗을 유다와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워야 함을 설명합니다. 

아브넬은 또한 이 사실을 "베냐민 사람의 귀에 말하려고.." 베냐민은 다윗의 출신 지파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아브넬은 다윗의 귀에 듣기 좋은 소식, 베냐민 지파가 환영할만한 소식을 전하기 위해 헤브론으로 향하는 것입니다.

 

2. 아브넬을 선대하는 다윗(20-21)

아브넬이 가져온 소식은 다윗의 마음에 흡족함을 주었습니다. 

사울의 집안과 다윗의 집안은 전쟁중에 있었지만, 다윗은 아브넬과 그와 함께 찾아온 부하들을 위해 잔치를 베풀어줍니다.

이후 아브넬의 약속을 얻고 그를 위해 평안을 빌고 돌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다윗은 자신과 함께 하던 이들이 아브넬의 창에 찔려 죽임을 당했지만, 자신의 왕권을 확실하게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더 눈에 들어왔던 것입니다. 

 

3. 요압의 분노(22-24)

아브넬이 돌아가자 때마침 요압과 그의 부하들이 사울의 신복들과의 전쟁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이었습니다.

아브넬이 헤브론에 왔다가 돌아갔다는 소식을 듣고는 요압은 분노합니다. 

왕에게 따져 묻습니다. "넬의 아들 아브넬이 임금을 찾아왔는데, 임금님이 그를 그냥 보내셔서 그가 무사하게 이 곳을 떠났다고 하는데 어찌하심입니까? 왜 그러셨습니까? 그는 속이는 자입니다. 지금 임금에게 온 이유도 동향을 파악하고 정탐하기 위해 온 것입니다"라고 아브넬에 대한 분노를 표현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자신의 동생 아사헬을 죽인 사람이 아브넬이었기 때문입니다.

요압은 전령들을 보내 아브넬을 뒤쫒아갔습니다. 시라 우물가에서 아브넬을 잡았고, 그를 다시 데리고 왔습니다.

다윗은 이 사실을 알지 못했습니다.

 

[나 - 나의 삶의 적용]

목회를 하면서 가장 위험한 생각은 '내가 무언가가 되었다, 내가 내 힘으로 이뤄냈다'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

하나님을 의식하며 살아가는 삶은 결코 내가 무언가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내 삶에 일하시고, 인도해가시는 것을 느끼는 것이 꼭 가져야 할 마음가짐인 것입니다.

다윗은 늘 하나님앞에 서고자 했지만, 자신의 귀를 즐겁게하는 소리에 마음을 빼앗겼던 모습이 눈에 들어옵니다.

아브넬 또한 다윗의 이러한 점을 이용했던 모습이 오늘 본문속에 드러납니다.

나의 귀를 즐겁게 해 주는 칭찬의 말, 격려의 말에 함몰되지 않도록 늘 겸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