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ship Story

누룩과 꿀, 소금(레2:1-16) 본문

영성큐티

누룩과 꿀, 소금(레2:1-16)

James Cha 2022. 3. 2. 11:04

2022년 3월 2일(수) / 매일성경 / 레위기 2장 1-16절

 

너희가 나 주에게 바치는 곡식제물은 어떤 것이든지 누룩을 넣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나 주에게 살라 바치는 제사에서, 어떤 누룩이나 꿀을 불살라서는 안되기 때문이다.(레2:11)

네가 바치는 모든 곡식제물에는 소금을 넣어야 한다. 네가 바치는 곡식제물에는 네 하나님과 언약을 세울 때에 넣는 그 소금을 빼놓지 말아라. 네가 바치는 모든 제물에는 소금을 넣도록 하여라.(레2:13)

 

[하나님 - 본문속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성품]
1. 세밀하신 하나님(1-16)

레위기 2장에서는 소제(곡식제사)를 설명하십니다.

소제는 번제와는 다르게 죄사함의 목적이 아닌, 감사를 고백하기 위한 일상의 제사를 말합니다.

소제는 고운 밀가루를 제물로 바치는게 거기에 기름을 붓고 향을 얹어서 바쳐야 합니다.(1)

제사장들에게 이것을 가져가면 밀가루 한 줌을 구별하여 하나님께 바치고, 나머지는 아론과 그의 아들들 곧 레위인들의 몫이 되었습니다.

레위인들은 다른 지파와는 다르게 노동을 하지 않고,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주관하는 일을 하는 대신에 이렇게 제사를 통해 얻은 몫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소제를 드림에도 하나님의 세밀한 배려와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무엇을 빼야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꼭 넣어야 하는지 하나님은 세밀하게 가르쳐주십니다.

 

[인간 - 본문속에서 나타난 인간]

1. 빼야할 누룩과 꿀(11-12)

소제를 드리면서 빼야 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누룩과 꿀입니다.

누룩은 성경에서 죄의 심각한 전염성과 부패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누룩은 부풀어지고 발효되는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꿀은 육신적인 안락과 쾌락을 상징합니다. 꿀이 혀에 닿게 되면 온 몸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이 누룩과 꿀은 구약시대 이방인들의 제사속에서 많이 애용되던 제물이었습니다. 

따라서 거룩하신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에서 이 누룩과 꿀은 절대 금기사항이었던 것입니다.

이것이 구별된 제물과 섞이는 것을 하나님은 원치 않으셨습니다.

 

2. 꼭 기억해야 할 소금(13)

소제의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 그것은 꼭 소금을 넣어야 한다는 것입니다.소금은 음식물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해주는 천연 방부제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소금은 불변과 영원을 상징합니다. 모든 소제물에 소금을 넣는 것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이 맺은 언약이 변하지 않고 영원함을 의미하는 것입니다.따라서 제사를 드리는 사람은 변하지 않으시는 하나님, 변하지 않은 약속의 말씀을 굳게 붙잡고 나아가야 합니다.성경은 이를 가리켜 소금언약이라고 했습니다.

 

[나 - 나의 삶의 적용]

내 삶에 빼야 할 것과 꼭 기억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봅니다.

자만, 이기적인 마음, 거짓, 불성실, 미움은 마치 소제를 드리는 제물에 담지 말아야 할 누룩과 꿀 같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빛이 되라, 그리고 세상의 소금이 되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 5:13-14)

우리는 이 땅에 소금으로 부름받은 사람들입니다.

세상의 악함과 부정함에 순응하는 자들이 아닌, 세상의 변질을 영원한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으로 막아세우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그리스도인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