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ship Story

돌이킬 수 없는 큰 아픔

by James Cha

2020년 9월 3일(목) / 매일성경 / 창세기 38장 1-30절 

 

"그 후에 유다가 자기 형제들로부터 떠나 내려가서 아둘람 사람 히라와 가까이 하니라"(창38:1)

 

유다는 형제들로부터 떠나 아둘람으로 내려가 그곳에 거하던 히라라는 사람을 벗삼아 지냈습니다.

그곳에서 가나안 사람 곧 이방사람 수아라 하는 사람의 딸을 보고 임신을 시켜 아내로 삼아버렸습니다.

이것은 가나안 사람의 딸들과 혼인하지 말라는 뜻을 깨버리는 행동이었습니다.

비극은 이 일들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수아의 딸을 아내로 삼아 엘을 낳고, 오난을 낳고, 셀라까지 연달아 3형제를 낳았습니다.

엘의 아내로 맞아들인 다말 또한 가나안 사람들의 딸 이방인이었습니다.

유다로부터 시작된 부정과 부도덕함이 그 자녀들에게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장자인 엘은 하나님이 보시기에 악했다고 기록합니다. 결국 엘은 하나님께서 죽이셨습니다.

당시의 풍습에 따르면 장자가 죽으면 그 동생이 형수에게 들어가 대를 이어야 하는 책임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난은 이를 거부하고 책임을 다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오난도 하나님이 보시기에 악함으로 인해 죽게 되었습니다. 이제 남은 막내 셀라는 아직 어려서 성장하는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다말은 연이어 형제를 떠나보낸 한마디로 집안을 송두리째 잡아먹은 과부가 되었습니다.

성경에 기록되지는 않았지만 다말은 아마도 부정한 사람처럼 취급되었을 것입니다.

사람들의 부정적인 시선이 두려웠을 것이고, 집안에서도 내쳐진 자신의 신세에 낙담이 되었을 것입니다.

결국 벌어지지 말아야 할일이 벌어졌습니다.

유다의 아내가 죽자 상을 마치고 슬픔을 느끼고 있을 때 다말은 시아버지인 유다에게 창녀인척 접근하여 결국 임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다말은 쌍둥이 베레스와 세라를 출산합니다. 

마치 저급한 막장드라마의 한 편을 보는 것 같습니다.

 

오늘의 말씀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무엇일까요?

1. 하나님을 떠난자의 삶은 비참한 삶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요셉을 팔아넘긴 장남 유다의 삶은 요셉과 정 반대의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어찌보면 요셉보다는 더 재산도 많고, 유리한 조건의 삶을 살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론은 요셉은 승승장구한 반면 유다는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하나님을 떠났다는데 있습니다.

유다는 그의 가족들과 친척들을 떠나 가나안 땅 아둘람에서 아내를 취하고 살았습니다.

무슨말이겠습니까? 하나님을 믿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공동체를 떠나 이방의 민족들이 살고 있는 땅에서 세상과 벗하며 살았다는 것입니다. 7절과 10절에서 반복되는 것처럼 유다의 자녀들은 결국 하나님을 믿는 신앙에서 떠나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한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결국 그 죄악으로 인해 죽음을 면치 못합니다.

이 신앙의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짐으로 인해 하나님을 떠난 잘못된 삶을 살아간 것입니다.

 

2. 정욕을 다스리지 못한 돌이킬 수 없는 과오

다말의 속임수로 인해 유다는 결코 있어서는 안될 일을 저지르게 됩니다.

정욕에 눈이 멀어 자신의 슬픔과 외로움을 여인을 통해 해결하려 했던 어리석은 모습이 유다에게서 보여집니다.

다말은 시아버지인 유다로부터 씨를 받아 베레스와 세라를 낳게 되었고, 이를 통해 유다와 다말의 죄악을 하나님을 드러내셨습니다.

베레스는 '터지다', '파괴하다'라는 뜻이며

세라는 '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아마도 자신들이 성장하면서 자신의 출생의 비밀로부터 느끼게 되는 결핍을 경험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3. 죄악된 인생, 결핍이 있는 인생도 하나님은 사용하십니다.

마태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족보는 다윗왕을 기점으로 전후 14대를 걸처 기록되어 있습니다.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으로부터 시작된 족보는 이삭과 야곱을 걸쳐 요셉이 아닌 유다로 이어집니다. 

장남이었던 유다, 그의 인생에 비록 잘못과 실수가 있었지만 하나님의 구원의 족보는 유다와 다말에게서 낳은 베레스와 세라로 이어집니다.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헤스론은 람을 낳고..." (마1:3)

"이새는 다윗 왕을 낳으니라" (1:6a)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마1:17)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예수 그리스도는 죄악된 혈통을 거부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구원을 위한 통로로 사용하시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이것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이고 섭리인 것입니다.

 

'영성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을 꾸게 하시는 하나님  (0) 2020.09.04
형통한 자, 요셉  (0) 2020.09.03
질투가 부른 큰 이별의 슬픔  (0) 2020.09.01
편애(偏愛)로 깨어진 샬롬  (0) 2020.09.01
막장드라마  (0) 2020.04.07

블로그의 정보

Worship Story

James Cha

활동하기